학사정보

개설과목 및 교과목해설

개설과목

  • 1학년
    실내건축제도, 공간설계기초 1, 실내디자인개론, K-project, CAD 1, 공간설계기초 2, 스케치와 모형제작
  • 2학년
    실내디자인각론, CAD2, Nano-Lab기초1, 비주얼프리젠테이션, 주거공간디자인, 주거공간디자인-1, 공간과구조, 실내디자인코디네이션, Nano-Lab기초2, 실내디자인사1, 식음공간디자인, 식음공간디자인-1, 조명디자인
  • 3학년
    재료와시공, 업무공간종합설계, 업무공간종합설계-1, 실내디자인사2, Nano-Lab심화1, 창업과마케팅, 가구디자인, 실내건축환경, Nano-Lab심화2, 복합공간종합설계, 복합공간종합설계-1, 전시디자인, 디지털디자인, 한국건축과실내, 디자인필드
  • 4학년
    융복합공간디자인, 융복합공간디자인-1, 졸업작품캡스톤디자인, 포트폴리오, 주제연구, 적산과현장관리, 졸업작품캡스톤디자인-1, 공간과문화, 디자인세미나

개설과목 교과목 해설

개설과목 교과목 해설
교과목명 교과목해설 이수 구분 설강
국문 영문 국문 학년 학기
디자인필드 Design Field 실내디자인 분야의 업무 성격, 조직 운영, 디자인 공간전략 등을 실무를 깊이 이해하기 위해 산업체(디자이너) 및 수행 프로젝트를 조사하고 발표하는 수업이다. 전선 3 2
졸업작품캡스톤, 졸업작품캡스톤디자인-1디자인 Graduation project interior design 졸업작품 디자인에 대한 이해, 졸업작품 사례 조사, 디자인 개념 설정, 디자인의 기능적 분석, 디자인의 공간계획 및 발전, 졸업작품 디자인 마케팅 전략, 디자인 프레젠테이션(패널, 모형, 도면)을 학습하는 수업이다. 전선 4 1
주제연구 Subject research 졸업작품과 연계된 문화 콘텐츠, 트렌드 조사 등을 실시하여 실내디자인 프로젝트의 주제를 연구하는 과정이다. 전선 4 1
포트폴리오 Portfolio 교육과정에서 작업한 결과물을 종합하여 취업 분야에 따라 포트폴리오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과정이다. 전선 4 1
적산과현장관리 Integration and on-site management 실내디자인 시공을 위하여 실시도면을 파악하고 시공계획을 수립하여 내역서, 공정표, 시방서 등을 작성하는 과정이다. 전선 4 1
융복합공간디자인, 융복합공간디자인-1 Convergence space interior design 융복합공간 디자인에 대한 이해, 융복합공간 디자인 사례 조사, 융복합공간 디자인 개념 설정, 융복합공간 디자인의 기능적 분석, 융복합공간 디자인의 공간계획 및 발전, 융복합공간 디자인 마케팅 전략, 디자인 프레젠테이션(패널, 모형, 도면)을 학습하는 수업이다. 전필 4 2
공간과문화 Space and culture 현대 문화예술과 실내디자인의 관계를 이해하고 인문적 사고의 영역에서 공간문화를 이해하는 과정이다. 전선 4 2
디자인세미나 Design Seminar 진로를 계획하고 준비하는 과정으로 졸업 후 소속하게 될 조직을 이해하고 필요한 역량을 스스로 발전시키고 공유하는 과정이다 전선 4 2
K-Project K-Project 실내디자인 기초과정으로 실내디자인 계획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지식을 학습하고 관련사례를 조사·발표하는 과정이다. 전선 1 2
Nano-LAB 기초 1 Basics of Nano-LAB 1 실내디자인 기초과정으로 디자이너에게 필요한 관찰, 응용, 표현 능력을 함양하며, 전공에 대한 이해와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돕는다. 전선 2 1
Nano-LAB 기초 2 Basics of Nano-LAB 2 실내디자인 기초과정으로 디자이너에게 필요한 관찰, 응용, 표현 능력을 함양하며, 전공에 대한 이해와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돕는다. 전선 2 2
Nano-LAB 심화 1 Advanced of Nano-LAB 1 실내디자인을 전공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디자인의 역사, 트랜드, 지역문화를 학습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디자인투어를 계획하는 교과목이다. 전선 3 1
Nano-LAB 심화 2 Advanced of Nano-LAB 2 실내디자인전공 3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디자인의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지도록 인문학적 사고의 폭을 넓히는 수업이다. 전선 3 2
실내디자인각론 Advanced Theory of Interior Space Planning 다양한 공간의 기능적 심리적, 환경적 특성에 대한 이론 및 적용방법에 대한 교육을 통해 합리적 설계 도출의 기초적 능력을 배양한다. 전필 2 1
CAD 1, 2 CAD Ⅰ,Ⅱ 컴퓨터를 이용하여 2D, 3D, 투시도 작성 및 렌더링 과정으로 현실감 있는 다양한 simulation 기법을 학습한다. 전선, 전필 2 1
재료와 시공 Materials and Construction 실내디자인에서 주로 사용되는 재료의 특성 및 표준공법 등을 연구하고, 새로운 재료 및 공법의 개발가능성을 검토한다. 전필 3 1
실내건축제도 Drafting 디자인된 공간 및 그 제반 요소를 도면으로 표현하기 위한 도면 작성법을 기초부터 단계적으로 학습한다. 전선 1 1
공간설계기초1, 2 Basics of interior design 1, 2 실내디자인 설계에 적용 가능한 기초 학습을 통해 창의적 조형 능력을 배양한다. 전선 1 1,2
실내디자인개론 Fundamentals of Interior Design 실내디자인의 제반 이론 및 디자인프로세스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함양시킨다. 전선 1 2
스케치와모형제작 Sketch & Modeling 디자이너의 아이디어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과정으로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 표현법 및 모델제작 기법을 익히는 과정이다. 전선 1 2
비주얼프리젠테이션 Visual Presentation 실내디자이너에게 필요한 시각적 표현 능력 및 프리젠테이션 기법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산다. 전선 2 1
주거공간디자인, 주거공간디자인-1 Residential interior design 실내디자인 설계의 입문 과정으로서 주거 공간의 기능적, 조형적, 심리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창의적인 주거공간을 계획한다. 전선 2 1
공간과구조 Space and structure 실내디자이너에게 필요한 공간과 구조에 대한 기초 및 실습과정을 학습한다. 전선 2 1
실내디자인코디네이션 Interior design Coordination 특정 공간의 용도에 적합한 마감재의 선정 및 조합을 색채학 등의 이론을 기초로 하여 연구한다. 전선 2 2
실내디자인사1 Interior Design History 1 문명의 발달에서부터 근대까지의 실내디자인 및 관련 디자인에 관한 역사를 통하여 현재 우리의 실내 디자인과 비교 검토한다. 전선 2 2
실내디자인사2 Interior Design History 2 산업혁명에서부터 제2차 세계대전까지의 건축, 실내디자인, 가구 등의 역사를 분석한다. 전선 3 1
식음공간디자인, 식음공간디자인-1 Interior Design Studio II, II-1 상업공간을 중심으로 독창적 실내개념의 전개에 주안점을 둔 스튜디오 작업이며 새로운 디자인의 패러다임을 학습하는 과정이다. 전선 2 2
조명디자인 Interior Lighting Design Studio 조명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기반으로 공간 용도에 따른 구체적인 조명계획을 설계한다. 전선 2 2
업무공간종합설계, 업무공간종합설계-1 Work space interior design 업무공간을 대상으로 한 설계수업으로 장애인을 위한 공간적 배려를 포함한다. 최종과제에 시공도면을 포함시켜 실무 적응력을 배양한다. 전선 3 1
창업과마케팅 Entrepreneurship and Marketing 실내디자이너로서 창업에 필요한 세부사항과 마케팅 전량에 대해 학습한다. 전선 3 1
가구디자인 Furniture Design 가구의 역사, 재료, 인간공학, 제작기법 등을 연구하고 이를 응용하여 창의적인 가구를 디자인하고 시제작한다. 전선 3 1
실내건축환경 Interior Environmental Control Systems 실내환경 요소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함께 공조설비, 위생 설비 등 환경조절을 위한 설비의 실무적 이론과 디자인 프로세스를 배우는 과목이다. 전선 3 1
복합공간종합설계, 복합공간종합설계-1 Complex space interior design 복합공간을 대상으로 한 설계 수업으로 지역의 맥락적 관점과 환경친화적 요소에 대한 고려를 포함한다. 전선 3 2
전시디자인 exhibition space design 실내디자인 분야의 포괄적 범위인 전시디자인을 위한 설계수업이다. 전선 3 2
디지털디자인 Digital Design 디지털 매체 및 가상공간과 관련된 디자인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하는 수업이다. 전선 3 2
한국건축과실내 Korean Tradition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우리나라의 실내 공간 및 가구디자인을 동시대의 사회 문화적 배경과 연관시켜 분석함으로써 한국건축과 실내의 발달과정을 연구한다. 전선 3 2
개설과목수 총 44과목
TOP